Korean Journal of Cerebrovascular Surgery 2008;10(4):551-555.
Published online December 1, 2008.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utcome of surgical clipping and endovascular treatment in the ruptured posterior circulation aneurysms.
Yang, Moon Seok , Choi, Chang Hwa , Lee, Sang Won , Lee, Tae Hong
1Department of Neurosurgery, School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chwachoi@pusan.ac.kr
2Department of Neuroradiology, School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Abstract
OBJECTIVE
Posterior circulation aneurysms are difficult lesions to treat surgically because they have a potential for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We have used both surgical clipping and endovascular coiling techniques to treat posterior circulation aneurysms and report the comparative results of these two treatment modalities. METHOD: Of 999 patients with intracranial aneurysms admitted between January 1996 and May 2005, 77 (7.7%) had aneurysms of the posterior circulation. Forty-three cases of posterior circulation aneurysms (43/77 [55.8%]) who were treated with clipping or coil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se aneurysms were located in the following sites: 20 cases (46.5%) in the basilar bifurcation artery (BBA), 9 cases (20.9%) in the superior cerebellar artery (SCA), 7 cases (16.7%) in the vertebral artery (VA), 4 cases (9.5%) in the dist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PICA), and 4 cases (9.5%) in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PCA). Fourteen (31%) aneurysms were treated with surgical clipping and 29 (69%) aneurysms were treated with endovascular coiling. The treatment outcomes from outpatient follow-up 12 months after treat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Glasgow outcome scale (GOS). RESULT: Overall, 10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surgical clipping and 22 (74.4%)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endovascular therapy had good outcomes (GOS, 4~5). The mortality of surgical treatment and endovascular coiling was approximately 7.1% (1/14) and 6.9% (2/29), respectively.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two transient cranial nerve deficits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whereas the patients who underwent endovascular treatment had more serious complications (two intra-operative aneurysm ruptures and three embolic infarctions). CONCLUSION: Patients treated with endovascular coiling had more severe intra-procedure rebleeding than patients treated with surgical clipping;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outcome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Both surgical and endovascular approaches to posterior circulation aneurysms can achieve good outcomes, and appropriate choice depends on the judgment of the surgeon and neurointerventionist based on angiographic findings. More cautious judgment according to patient factors and angiographic findings can improve the final results.
Key Words: Posterior circulation aneurysm, Surgical clipping, Endovascular coiling, Treatment outcome, Therapeutic embolization
 


서 론

후순환계 뇌동맥류는 전체 두개강내 뇌동맥류의 약 3.8~15%로 비교적 빈도가 낮으며2)4)20) 전방순환계 뇌동맥류

와는 달리 뇌간이나 소뇌 앞의 제한된 공간에서의 수술적 조작, 뇌간으로 가는 천공혈관이 많은 점 등의 이유로 인해 후방

순환계 뇌동맥류는 치료방법을 선택 할 때 수술방법이나 혈관내 수술법을 놓고 고민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후방순환계

동맥류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내원시의 Hunt 및 Hess씨 등급(H-H 등급), 연령, 동맥류의 위치 등이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21) 뇌동맥류의 치료에 비수술적 혈관내 치료가 도입된 이후로 수술적 접근이 어렵거나 결찰이 어

려운 경우와 고령 또는 전신상태가 불량하여 수술의 위험도가 높은 경우, 동맥류 결찰에 실패하거나 수술을 거부한 경우의

환자에서 뇌동맥류결찰술의 유용한 대체치료 뿐 아니라 일반적인 뇌동맥류에서도 일차적 치료로 최근 활발히 시행되고 있

으며, 특히 후방순환계에 발생하는 동맥류의 경우 수술의 어려움과 해부학적 특성 등의 이유로 혈관내 치료가 널리 시행

되고 있다.6)8)9)10)17)

본 연구에서는 수술적 결찰술과 혈관내 색전술을 시행한 후 순환계 뇌동맥류 환자에서 임상적 특성과 단기 치료 성적을

비교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자발성 뇌동맥류 파열로 입원한 환자는 999명이었으며, 후방순환계 뇌동맥류로 진단

받은 환자는 총 77명(7.7%)이었다. 그 중 결찰술(14례)과 색전술(29례)을 시행한 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후순환계 뇌동맥류의 분류는 뇌혈관 조영술 및 수술시 소견에 따라 기저동맥 분기동맥류, 후대뇌동맥동맥류, 상소뇌동맥동

맥류, 후하소뇌동맥동맥류, 전하소뇌동맥동맥류로 각각 나누었으며, 발병 후 12개월의 Glasgow outcome scale (GOS)

을 기준으로 2~3등급은 불량한 예후로 4~5등급은 양호한 예후로 판정하여 단기간의 전체사망률과 유병률을 조사하였고,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로 환자의 연령, 내원시의 Hunt 및 Hess씨 등급. 뇌동맥류의 위치 및 크기, 처치 방법

을 비교하였다. 치료방법으로는 결찰술을 시행한 군과 색전술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어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적 검

증은 Fisher Exact Test (p<0.05)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 과

1. 연령 분포 및 남녀비

같은기간 동안 총 999례의 뇌동맥류중 후순환계 뇌동맥류는 77례로 전체의 7.7%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43례(55.8%)

에서 결찰술(14례) 또는 색전술(29례)을 시행하였다. 후순환계 뇌동맥류 환자군의 연령 분포는 20세에서 73세까지로 평

균 연령은 52.1세였으며 남자 8명 여자 35명으로 남, 녀비는 1 : 4.4 로 여자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결찰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연령 49.6세, 색전술을 시행 한 군에서세로 색전술을 시행한 군의 평균 연령이 다소

높았으며 남녀비 또한 결찰술을 시행한 군에서 1 : 2.5, 색전 술을 시행한 군에서 1 : 6.3 으로 색전술을 시행한 군에서 여

성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2. 발생부위 및 분포

CT 혈관촬영 및 뇌혈관조영술(Cerebral angiography)에 따라 동맥류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후순환계 동맥류 전체 43

례 중 20례(46.5%)에서 기저동맥분기동맥류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상소뇌동맥 동맥류 9례(20.9%), 추골동맥 동맥류 6

례(14.0%), 후하소뇌동맥 동맥류 4례(9.3%), 후대뇌동맥 동맥류 4례(9.3%)로 분포되었다. 결찰술을 시행한 군에서는 상

소뇌동맥 동맥류 6례(42.9%), 기저동맥분기동맥류 3례 (21.4%), 후하소뇌동맥 동맥류 2례(14.3%), 후대뇌동맥 동맥

류 2례(14.3%), 추골동맥 동맥류 1례(7.1%) 순이었고, 색전술을 시행한 군에서는 기저동맥분기동맥류 17례(58.6%), 추골

동맥 동맥류 5례(17.2%), 상소뇌동맥 동맥류 3례(10.3%), 후 하소뇌동맥 동맥류 2례(6.9%), 후대뇌동맥 동맥류 2례(6.9%)

순으로 시행되었다(Table 1).

3. 임상 소견

본 연구에서 비교 분석한 총43명의 환자는 모두 내원당시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뇌지주막하출혈로 진단받았다. 내원당

시 Hunt 및 Hess씨 분류상 의식 상태는 결찰술을 시행한 그룹에서 등급 II : 4례, 등급 III : 5례, 등급 IV : 5례였으며,

색전술을 시행한 그룹에서 등급 II : 11례, 등급 III : 9례, 등급 IV : 9례로 등급 2~3의 양호한 의식상태를 가진 환자에서

다소 색전술이 많이 시행(결찰술 9례 : 64.3%, 색전술 20례 : 68.9%)되었으나 각각의 백분율의 차이와 통계적 의미는 없었

다(p = 0.846)(Table 2). 수술시기는 내원당시 H-H 등급 II 였던 3례의 결찰술 시행 환자에서 지연수술(발병일로부터 7

일~10일)을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11례의 결찰술 시행 환자와 29례의 색전술 시행 환자에서 발병일로부터 72시간 이내

에 조기수술을 시행하였다.

4. 치료결과 및 합병증

43례중 14례(32.6%)에서 수술적 결찰술을 시행하였고 29례(67.4%)에서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후순환계 환자에서 결찰술을 시행하였던 14례 환자 중 내원당시 H-H 등급이 I~II였던 3례(21.4%)와 III~IV였던 7례

(50.0%)에서 수술후 GOS 4이상의 양호한 회복을 보였고, 내원당시 H-H 등급이 II였던 3례(21.4%)에서 불량한 회복을

보였다. 색전술을 시행하였던 29례 환자 중 내원당시 H-H등급이 I~II였던 6례(20.7%)와 III~IV였던 16례(55.2%)에서

양호한 회복을 보였고, 내원당시 H-H 등급이 II였던 3례(10.3%)와 III이였던 2례(6.9%)에서 불량한 회복을 보였다.

일상 생활을 혼자서 할 수 있는 GOS 5,4를 Good, 일상 생활을 혼자서 하기 어려운 GOS 3,2 를 Poor로 정하고 비교한

두 군의 최종 치료결과는 통계상의 유의할만한 차이점은 보이지 않았다(p = 0.645)(Table 3).

수술후 재출혈은 결찰술에서 1례, 색전술에서 1례 발생하였고 결찰술의 경우 혈관연축 3례, 수두증 1례 뇌신경마비 2례

발생하였으며 색전술의 경우 혈관연축 3례, 수두증 2례, 부분적 색전 경색 3례(우측 원위부 중대뇌동맥 1례, 뇌간부위 2례)

에서 발생하여 결찰술에서 색전술에 비해 더 많은 합병증의발생율을 보였다(Table 4).

사망률은 결찰술의 경우 1례(7.1%), 색전술의 경우 2례(6.9%)로 유의할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able 4). 사망

원인으로는 2례(결찰술 1례, 색전술 1례)는 추골동맥 동맥류환자로 내원 당시 등급 5였으며, 뇌혈관 연축으로 추정되는

광범위한 뇌경색과 뇌압상승에 의한 사망으로 추정되었다. 나머지 1례는 후하소뇌동맥 동맥류 환자로 색전술 후 재출혈로

사망하였다.



고 찰

후순환계 뇌동맥류는 전체 두개강내 동맥류의 3.8~15%를 차지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2)4)20)으로 동맥류 주변의 해부학적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천공 혈관과 수술시 좁은 조작 공간으로 수술적 치료가 어렵다. 후순환계 뇌동맥류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1948년 Schwartz22)가 성공적인 치료 경험을 보고한 이후 뇌혈관조영술의 발달과 수술 현미경 등의 미세 수술 기

구 및 수술기법의 발전 등으로 성적의 향상을 보였으며 많은 술자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후순환계 뇌동맥류 중에서 가

장 많은 빈도를 보이는 것이 기저동맥분기부에 발생하는 동맥류로 전체의 52~66%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상소뇌동

맥-기저동맥분기부, 후하소뇌동맥 기시부 순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7)14) 본 연구에서도 기저 동맥 분지부가

44.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상소뇌동맥 동맥류가 21%로 높은 빈도를 보여 발표된 다른 주요 연구결과들과 비

교하여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후순환계 동맥류의 치료를 결정하는 데는 환자의 임상상태가 가장 중요한 인자이고, 직접

적인 수술 또는 혈관내 치료의 선택, 수술시 수술적 접근법의 선택, 치료경험 등이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5)23) 최근 후순환계 동맥류 환자에서 혈관내 치료(색전술)의 적용이증가 되고 있으며 적용 대상의 확대 및 추

적관찰을 통한 안정성과 효과가 좋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결찰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색전술을 시행한 환자에 비해 합병

증 발생률이 다소 높았으나, 사망률은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결과는 결찰술을 시행한 환자의 71.4%에서 양호한 회복을 보였으며 색전술을 시행한 환자의 75.9%에서 양호한 회복

을 보여 두 군 모두 비교적 우수한 성적을 보였으며 추적 관찰에서 결찰술과 색전술 시행 환자의 예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중심 단어 : 후순환계 파열성 뇌동맥류∙�결찰술∙�혈관내치료치료결과.


REFERENCES

11) Chang HS, Fukushima T, takakura K, Shmizu T : Aneurysms of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 Report of ten cases. Neurosurgery 19 : 1006-11, 1986

12) Dae Hee Han, Chang Hwan Oh. Surgical experience of posterior circulation aneurysms. J Korean Neurosurg Soc 23 : 1416-23,

1994

13) Debrun GM, Aletich VA, Kehrli P, Misra M, Ausman JI, Charbel F. Selection of cerebral aneurysm for treatment using Guglielmi

detachable coil The preliminary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experience. Neurosurgery 43 1281-97, 1998

14) Drake CG. Management of aneurysms of the posterior circulation, in Youman JR(eds) : Neurological surgery.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73, pp 787-806

15) Drake CG. Treatment of aneurysms of the posterior circulation. Clin Neurosurg 26 : 96-144, 1979

16) Eskridge JM, Song JK. Endovascular embolization of 150 basilar tip aneurysms with Guglielmi detachable coils : results of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ulticenter clinical trial. J Neurosurg 89 : 81-6, 1998

17) Ferrante L, Acqui M, Trilló G, Lunardi P, Fortuna A: Aneurysms of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do they present specific

characteristics? Acta Neurochir (Wien) 138 : 840-52, 1996

18) Fernandez Zubillaga A, Guglielmi G, Vinuela F, Duckwiler GR. Endovascular occlusion of intracranial aneurysms with

electrically detachable coils : correlation of aneurysm neck size and treatment results. AJNR 15 : 815-20, 1994

19) Guglielmi G, Vinuela F, Dion J, Duckwiler G. Electrothrombosis of saccular aneurysms via endovascular approach. Part 2 :

Preliminary clinical experience. J Neurosurg 75 : 8-14, 1991

10) Guglielmi G, Vinuela F, Duckwiler G, Dion J, Lylyk P, Berenstein A, Strother C, Graves V, Halbach V, Nichols D. Endovascular

treatment of posterior circulation aneurysms by electrothrombosis using electrically detachable coils. J Neurosurg 77 : 515-24, 1992

11) Hillman J, Saveland H, Jakobsson KE, Edner G, Zygmunt S, Fridriksson S, Brandt L. Overall management outcome of ruptured

posterior fossa aneurysms. J Neurosurg 85 : 33-8, 1996

12) Hodes JE, Aymard A, Gobin YP, Rufenacht D, Bien S, Reizine D, Gaston A, Merland JJ. Endovascular occlusion of intracranial

vessels for curative treatment of unclippable aneurysms : report of 16 cases. J Neurosurg 75 : 694-701, 1991

13) Kremer C, Gorden C, Hansen HC, Gryzyska U, Zeumer H. Outcome after endovascular treatment of Hunt and Hess grade IV

or V aneurysm, comparison of anterior versus posteror circulation. Stroke 30 2617-22, 1999

14) Lee SM, Lee KJ, Park HK, Park SC, Cho KK, Rha HK, Choi CR, Kang JK. Report of six cases of aneurysm of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J Kor Neurosurg 26 : 1754-59, 1997

15) Malisch TW, Guglielmi G, Vinuela F. Intracranial aneurysms treated with the Guglielmi detachable coil : Midterm clinical

results in a consecutive series of 100 patients. J Neurosurg 87 176-83, 1997

16) McDougall CG, Halbach VV, Dowd CF, Higashida RT, Larsen DW, Hieshima GB. Causes and management of aneurysmal

hemorrhage occurring during embolization with Guglielmi detachable coils. J Neurosurg 89 : 87-92, 1998

17) McDougall CG, Halbach VV, Dowd CF, Higashida RT, Larsen DW, Hieshima GB. Endovascular treatment of basilar tip

aneurysms using electrolytically detachable coils. J Neurosurg 84 : 393-9, 1996

18) Mericle RA, Wakhloo AK, Lopes DK, Lanzino G, Guterman LR, Hopkins LN. Delayed aneurysm regrowth and recanalization after

Guglielmi detatchable coil treatment. J Neurosurg 89 : 142-5, 1998

19) Murayama Y, Malisch T, Guglielmi G, Mawad ME, Vinuela F, Duckwiler GR, Gobin YP, Klucznick RP, Martin NA, Frazee J.

Incidence of cerebral vasospasm after endovascular treatment of acutely ruptured aneurysms : report on 69 cases. J Neurosurg 87 :

830-5, 1997

20) Redekop G, Willinsky R, Montanera W, TerBrugge K, Tymianski M, Wallace MC. Endovascular occlusion of basilar bifurcation

aneurysms with electrolytically detachable coils. Can J Neurol Sci  26 : 172-81, 1999

21) Sagoh M, Hirose Y, Murakami H, Mayanagi K. The outcome of early surgical management of ruptured posterior circulation

aneurysms. Neurol Res 19 : 385-8, 1997

22) Schwratz HG. Arterial aneurysm of the posterior fossa. J Neurosurgery 5 : 312-6, 1948

23) Sharr MM, Kelvin FM. Vertebrobasilar aneurysms. Experience with 27 cases. Eur Neurol 10 129-43, 1973

24) Vinuela F, Duckwiler G, Mawad M. Guglielmi detachable coil embolization of acute intracranial aneurysm : Perioperative

anatomical and clinical outcome in 403 patients. J Neurosurg 86 : 475-82, 1997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The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urgery (JCEN), Department of Neurosurger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ospital, 895, Muwang-ro, Iksan-si, Jeollabuk-do 54538, Korea
Tel: +82-2-2279-9560    Fax: +82-2-2279-9561    E-mail: editor.jcen@the-jcen.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erebrovascular Surgeons and Korean NeuroEndovascular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