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erebrovascular Surgery 2000;2(2):107-109.
Published online January 1, 2001.
Microsurgical Anatomy of the Supraclinoid Internal Carotid Artery.
Lee, Kyu Chang
Department of Neuro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leekc@yumc.yonsei.ac.kr
Abstract
As the internal carotid artery(ICA) spans the cavernous sinus and supraclinoid segments, it assumes an S-shaped configuration on lateral view that is referred as the carotid siphon. The supraclinoid carotid artery begins where the artery emerges through the dural ring from the clinoidal segment, thereby forming the distal half of the siphon. The artery enters the subarachnoid space medial to the anterior clinoid process, just inferior to the optic nerve, and then pass posteriorly, and laterally to the side of the optic chiasm. The vessel then angles forward as it nears the anterior perforated substance at the medial end of Sylvian fissure, where it bifurcates into the anterior and middle cerebral arteries. The supraclinoid portion of the ICA can be divided into three segments: ophthalmic, communicating, and choroidal, based on the site of origin of the ophthalmic, posterior communicating, and anterior choroidal arteries, respectively.
Key Words: Micro surgical anatomy, Internal carotid artery

서     론


   뇌동맥류 수술을 하기 위하여서는 상당히 자세한 뇌혈관의 미세 해부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수술 전에 집도의는 혈관 분지의 위치 등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수술 도달 계획을 세운다. 술자는 뇌혈관 촬영 사진에서 동맥류의 경부와 혈관 분지, 특히 주위에 있는 천공동맥들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술중에 동맥류가 파열되면 술자는 해부학적 지식에 따라 대처 방안을 세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술자가 충분한 해부학적 지식을 가지면 순조로운 수술을 진행시킬 수 있으며, 좋은 수술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필요가 있다.
   내경동맥은 대뇌반구, 동측 눈과 앞이마, 코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한다. 내경동맥은 경부, 추체부, 해면정맥동부 및 상 상상돌기부 또는 지주막하부 등 4분절로 나뉜다. 내경동맥은 전상상돌기(anterior clinoid process)의 밑으로 해면정맥동을 빠져나와 경뇌막 및 경동맥조(cistern)로 들어간다. 전상상돌기는 상상돌기 상부 내경동맥 근위부와 그 분지의 근위부를 덮고 있으며, 이 부위에서 돌기가 내경동맥을 누르기도 한다. 다음에 경동맥은 후상방과 야간 측방으로 올라가 내경동맥 분기(bifurcation)에 도달하며, 이 모든 과정의 내경동맥은 경동맥조 내에 위치한다. 내경동맥의 길이, 굵기, 방향 및 굴곡에 개인차가 많으며, 분기는 흔히 anterior perforated substance 밑에 위치하나 Sylvian fissure까지 높이 도달하는 경우도 있다. 내경동맥은 시신경 바로 측방에 있어 시신경과 나란히 위치하거나, 신경을 향해 요(concave) 또는 철(convex)의 굴곡을 이룬다. 실제로 내경동맥의 심한 굴곡으로 시신경관에서 나오는 시신경을 누르기도 한다. 상상돌기 상부 내경동맥과 시신경과의 관계는, 특히 뇌저동맥 분기를 전측방 도달 시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경동맥의 굵기는 해면정맥동내에서는 3.3~5.4 mm에 달하나 상상돌기 상부에서는 2.4~4.1 mm다. 내경동맥의 분지는 안동맥(ophthalmic artery), 내경동맥의 하내측에서 나와 뇌하수체경(stalk)과 전엽 및 시신경교차에 분포하는 몇 개의 작은 상뇌하수체동맥, 하측방에서 나오는 후교통동맥, 전맥락동맥, 내경동맥의 원위부 하측방에서 나와 uncus로 가는 2내지 3개의 작은 분지, 내경동맥의 상내측에서 나와 전상상돌기를 덮는 경뇌막에 분포하는 작은 동맥, 그리고 마지막 분지인 전대뇌동맥 및 중대뇌동맥으로 이루어진다.

1. 안동맥(Ophthalmic artery)
  
안동맥은 내경동맥의 첫 분지이며, 내측으로 향하는 유일한 큰 분지(1.0~2.0 mm)이다. 안동맥은 대개 내경동맥의 전내측(53.6%) 또는 상내측(31.5%)에서 나온다. 안동맥이 시작하는 부위는 일정하지 않다. 83%에서는 경동맥이 해면정맥동에서 나와 경뇌막으로 들어간 후에 경뇌막하강에서 기시한다. 2%에서는 안동맥이 내경동맥의 좀 더 근위부에서 기시하므로 일부는 경막하강에 있고 일부는 경막의 밖에 위치한다. 7.5%에서는 더욱 근위부에서 기시하여 완전히 경막외 해면정맥동내에서 기시한다. 나머지 6.5%에서는 경동맥조에서 나온다. 안동맥은 처음에는 접형골 및 시신경 교차 상부 내경동맥에 밀착 되 있다. 안동맥은 흔히 결체조직으로 된 느슨한 망에 의하여 시신경 밑에 붙어서 경막하강을 지나간다. 안동맥은 43%에서는 시신경의 하내측, 37%는 시신경 바로 밑, 16%는 하측방, 2%는 시신경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한다. 안동맥이 시신경 아래에서 시신경관(optic canal)으로 들어갈 때에(하측방 25.9%, 하방 32.7%, 하내방 41.4%) 시신경을 싸고있는 경막을 뚫고 나와 시신경관의 경막과 골막(periosteum) 사이를 통과한다. 시신경관내에서는 시신경의 하측방(84.5%) 또는 하내방(15.5%)에 위치한다.

2. 상뇌하수체동맥(Superior hypophyseal artery)
  
여러 개의 가는 분지들이 내경동맥의 하내측에서 나와 경동맥조와 시신경교차조에서 시신경의 밑을 따라가 뇌하수체경, tuber cinerium, 뇌하수체 전엽, 시신경과 시신경교차의 밑면 등에 분포한다. 이 동맥 분지들은 반대측의 같은 동맥 및 하뇌하수체 동맥들과 문합하여 뇌하수체경에 혈관총(vascular plexus)을 이루는데 hypophyseal portal system이라고 한다.

3. 후교통동맥(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후교통동맥은 내경동맥의 경동맥조 내 2~8 mm 되는 곳의 하측 벽에서 나온다. 후교통동맥이 내경동맥에서 나와 interpeduncular cistern을 뚫고 들어 갈 때까지는 내경동맥조를 지나는데, 이 때에 후교통동맥이 cistern내에 떠있는 것이 아니라 지주막으로 싸여있으며, 이 지주막은 동안신경을 감싸고있는 지주막과 붙어있다. 즉 후교통동맥은 지주막 끈으로 cistern벽에 매달려있다. 후교통동맥이 후대뇌동맥을 향하여 뒤로 갈 때에 후 상상돌기를 덮는 경뇌막과 밀착되어있다. 후교통동맥의 굵기가 다양하다. 38.7%에서는 2 mm이상, 41.5%에서는 1~2 mm, 18.9%에서는 1 mm이하다. 후교통동맥이 소아는 성인에 비하여 굵은 편이므로 나이가 들면서 가늘어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67.5%에서는 후교통동맥의 굵기가 후대뇌동맥의 1/3내지 1/2이다. 그러나 8.0%에서는 두 동맥의 굵기가 비슷하다. 24.5 %에서는 후교통동맥이 더 굵고 흔히 P1의 형성부전(hypoplastic)으로 “fetal type of circulation”이 지속됨을 보인다. 후교통동맥의 무형성(aplasia)은 일측이 3~11%, 양측이 0.3~1.5%이다. 그 외에 후교통동맥의 변형은 동맥의 중복(duplication) 및 천공(fenestration) 등이 있다. 후교통동맥의 시작 부위에서 2~3 mm 지나면 2~10개의 분지들이 나와 후 하방 및 내측방으로 향하며 interpeduncular cistern으로 들어간다. 이를 전 시상천공동맥이라고 하며 하 시신경교차, 시신경로(tract), tuber cinerium, mammillary bodies, subthalamus, posterior hypothalamus 및 시상의 anterior와 ventral portion에 분포한다. 대개는 가느다란 분지들이지만 예외로 비교적 굵은 혈관이 mammillary body의 앞으로 지나가서 뇌를 뚫고 들어간다. 이를 premammillary 또는 thalamotuberal artery라고 한다.

4. 전맥락동맥(Anterior choroidal artery)
  
전맥락동맥은 후교통동맥보다 2~5 mm 원위부, 경동맥 분기보다 2~5 mm 근위부의 내경동맥에서 하측방으로 시작한다. 10~32%에서 후교통동맥과 전맥락동맥 사이의 내경동맥 벽에서 분지들이 나오는데 이 분지들은 시신경로, 안쪽 측대뇌엽(medial temporal lobe) 및 posterior perforate substance에 분포한다. 전맥락동맥이 중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구동맥(uncal artery)은 항상 전맥락동맥보다 원위부의 내경동맥에서 나오지만 중대뇌동맥 근위부의 측벽에서 나올 수도 있다. 전맥락동맥의 굵기는 0.5~1.5 mm 이다. 70%에서 전맥락동맥은 한 개가 나와 즉시 또는 2~5 mm 뒤에 두개로 나눠진다. 30%에서는 처음부터 2~4개의 전맥락동맥이 나온다. 드물게 전맥락동맥이 내경동맥 분기, 중대뇌동맥 또는 전교통동맥에서 나오는 수도 있다. 전맥락동맥은 경동맥조 속에서 후내측으로 가서 후교통동맥의 후외측에 있는 시신경로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후교통동맥과 방향을 달리하여 측대뇌엽 내측과 대뇌각(cerebral peduncle) 사이에 있는 시신경로를 따라가 crural cistern으로 들어간다.
   전맥락동맥이 둘로 갈라져 있으면 한 분지는 uncal artery이며, uncus의 piriform cortex, posteromedial amygdala, anterior hippocampus와 dentate gyri 및 caudate nucleus의 tail을 공급한다. 전맥락동맥의 2분지중 주 동맥은 좀 굵으며, 근위부 분지는 시신경교차의 밑면, 시신경로의 후 2/3, globus pallidus의 내측 2 segment, internal capsule의 genu, cerebral peduncle의 중간 1/3, substantia nigra, red nucleus의 상부, subthalamus의 일부분, thalamus(ventral anterior 및 ventral lateral nuclei의 측부)를 공급한다. 그후에 전맥락동맥은 ambient cistern을 지나 choroidal fissure로 들어가 temporal horn 내의 맥락총(choroidal plexus)과 만난다. 이 부위에서 전맥락동맥은 lateral geniculate body(lateral half와 hilum), internal capsule(posterior limb의 inferior half 및 retrolenticular portion)과 optic radiation을 공급한다. 전맥락동맥의 분포영역은 내경동맥의 주위 분지, 후대뇌동맥, 후교통동맥 및 중대뇌동맥과 서로 반대되는 관계를 갖고 있다. 즉 이상의 분지들이 서로 풍부하게 문합을 갖고있으므로 한 분지가 가늘면 다른 분지가 굵어 서로 보상해준다.


REFERENCES


  1. Yasargil MG. Microneurosurgery, Vol. I, Microsurgical anatomy of the basal cisterns and vessels of the brain, diagnostic studies, general operative techniques and pathological considerations of the intracranial aneurysm. George Thiene Verlag, Stuttgart, New York, 1984, pp 54-71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The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urgery (JCEN), Department of Neurosurger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ospital, 895, Muwang-ro, Iksan-si, Jeollabuk-do 54538, Korea
Tel: +82-2-2279-9560    Fax: +82-2-2279-9561    E-mail: editor.jcen@the-jcen.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erebrovascular Surgeons and Korean NeuroEndovascular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